안녕하세요, 소미쌤입니다.
유아기의 공간지각력은 생각 이상으로 중요해요. 공간 안에서의 위치, 방향, 거리, 구조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이 능력은 수학, 미술, 신체놀이 등 다양한 영역과 연결된답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 공간지각 놀이에 ‘AI 기술’을 접목하면 훨씬 풍부하고 입체적인 학습 경험을 만들 수 있어요. 저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현장에서 사용해보고 너무 좋아서 소개시켜드리고 싶었어요!
오늘은 AI를 활용한 유아의 공간지각력 발달 활동을 주제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아주 재미있는 놀이 아이디어들을 여러분들에게만 소개해드릴게요.
공간지각력이란?
먼저 공간지각능력이란 무엇인지 알아야 중요성을 알겠죠? 간단하게 개념부터 짚고 갈게요.
공간지각력이란, 사물의 위치나 형태, 방향 등을 파악하고 머릿속에서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해요. 예를 들어 블록을 쌓거나, 퍼즐을 맞추고, 미로를 탈출하는 놀이 등이 모두 공간지각력과 관련 있어요.
이 능력은 유아의 문해력, 수학적 추론, 신체조정 능력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억지로 학습시키기보다는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길러주는 것이 아주 중요해요.
활동 1: AI 블록 앱과 실물 블록을 연결한 공간놀이
추천 도구: ‘Tangible Play Osmo’ / ‘ShapeGuru’
Osmo는 실물 블록이나 퍼즐을 카메라에 인식시키면, 아이패드 속 AI 캐릭터가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학습 도구예요. 아이들은 화면 속 도형이나 길을 따라 실물 조각을 맞추고, ai와 결과를 즉시 확인하면서 공간 구조를 이해해요.
예를 들어 아이가 삼각형과 네모 블록을 조합해 ‘집 모양’을 만들면, 화면 속 AI 친구가 “잘했어! 이제 문을 달아볼까?” 하고 반응하는 식이에요. 부모님이나 선생님보다도 구조화를 통한 정확한 피드백이 되기 때문에 아이들의 공간지각능력을 정확하게 길러주는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실제 조작 → AI 피드백 → 확장 미션으로 이어지며 집중력과 공간 변환 능력을 동시에 키울 수 있어요.
활동 2: 증강현실(AR) 퍼즐 놀이
추천 도구: ‘Merge Cube’ / ‘Quiver Vision’
AR 기술을 활용하면, 단순한 종이 퍼즐이 3D 공간으로 살아나요!
예를 들어 Quiver 앱은 아이가 색칠한 도안을 카메라로 비추면, 그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입체물로 바뀌어요. 자동차가 굴러가고, 공룡이 돌아다니는 식이죠.
이 과정을 통해 평면과 입체의 차이, 구조적 관계, 거리감을 자연스럽게 인지하게 돼요.
증강현실은 아이들이 굉장히 좋아하고 흥미로워합니다. 실제로 활동하면 아이들이 “내가 색칠한 집(그림)이 튀어나왔어!” 하며 기뻐하고, 그 공간에서 무언가를 배치하고 조절하려는 시도 자체가 훌륭한 공간지각 놀이랍니다.
활동 3: AI 미로 생성기로 나만의 길 찾기 놀이
추천 도구: ‘Maze Generator AI’ / ‘Thinkrolls’
간단한 웹 기반의 AI 미로 생성기를 활용하면, 아이의 연령과 능력에 맞춘 미로를 자동으로 만들어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Thinkrolls 앱에서는 귀여운 캐릭터가 미로를 이동하며 장애물을 피하고, 계단을 타고 올라가며 공간 안에서 방향을 조절하는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하게 돼요.
아이들이 직접 미로를 만들고 친구와 바꿔 푸는 활동까지 연결해보면, 공간 구성 능력과 논리적 사고가 동시에 발달하죠. 게임처럼 즐겁게 활동하며 자연스럽게 공간지각능력을기를수 있답니다.
활동 4: AI 음성 안내 블록 쌓기 놀이
추천 도구: ‘LEGO Voice Instructions’ / ‘AI 미니비서 앱’
“파란 블록 두 개 위에 노란 블록 하나!”
AI 음성 안내 기능을 활용해 블록을 쌓는 놀이도 해볼 수 있어요. 요즘은 오디오 기반 블록 조립 가이드를 제공하는 앱도 나오고 있어요.
아이들은 듣고 생각한 걸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떠올린 뒤 손으로 구현해야 하기에, 청각 정보 → 시각 상상 → 공간 조작의 연결 고리를 경험할 수 있어요.
이런 활동은 특히 주의 집중이 어려운 아이들에게도 효과적인데요, 목소리로 지시를 듣고 따라하는 과정 자체가 놀이처럼 느껴지기 때문이에요.
교실 속 적용 팁:
- 디지털-아날로그 연결이 핵심이에요. 단순히 미디어나 어플만 보는 게 아니라, 더나아가 실제 놀이와 이어지는 구조로 기획해보세요.
- 관찰과 대화를 병행해야합니다. “이렇게 쌓으니까 어떤 모양이 됐어?”, “길이 막혔을 땐 어떻게 했지?” 같은 질문을 던지면 사고력이 깊어져요. 모든 과정을 ai에게 맞기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아이의 자발성을 중심에 두세요. AI는 길을 안내하는 역할일 뿐, 주도하는 것은 언제나 유아가 되어야합니다.
결론
AI는 유아의 공간지각 발달을 도와주는 아주 훌륭한 도구예요. 단순히 오감 놀이에 머물렀던 활동이 기술을 통해 더 입체적이고, 예측 가능하고, 확장성 있는 놀이로 바뀌게 되죠. 기관에서도 교실 컴퓨터를 활용해 증강현실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여러 활동이 더욱 확장됨을 느낄 수 있으실 거에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아이가 직접 만지고, 움직이고, 결정하게 하는 것.
그 중심에 AI라는 새로운 친구를 곁들이면, 유아의 ‘생각하는 힘’이 더욱 다채롭고 풍부하게 성장한답니다.
다음 글에서는 AI를 활용한 수활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의 개념을 익혀야 다양한 연산도 가능해지는 법이죠. 그 수의 개념을 알려 주는 기본적이지만 어려운 내용을 ai를 활용해 어떻게 학습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AI시대 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와 함께하는 그림자 놀이 – 빛과 어둠을 이해하는 창의활동 (2) | 2025.05.08 |
---|---|
유아의 창의 수학 – AI 기반으로 하는 수 개념 익히기! (0) | 2025.05.08 |
AI로 과학 실험 시작하기, 어렵지 않아요 (0) | 2025.04.30 |
AI와 함께 떠나는 사계절 관찰 여행 (1) | 2025.04.30 |
유아의 디지털 문해력 교육 – AI 시대에 꼭 필요한 기초 능력 기르기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