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미쌤입니다.
아이들이 수학을 어려워한다고 느끼는 시기는 의외로 아주 어릴 때부터 시작된다고 해요.
하지만 그 원인은 ‘수학 그 자체’가 아니라, 수를 너무 딱딱하고 지루하게 배우게 되는 방식 때문이죠. 저 또한 수 교육을 할 때 아이들은 생각보다 지루해하고 수의 개념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경우를 많이 관찰하였어요.
하지만 요즘엔 무엇이 있다? 바로 AI가 있다. 이렇게 편리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요즘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는거겠죠?
AI를 활용하면 아이들이 좀 더 쉽게 그리고 재미있게 수 개념을 익힐 수 있어요.
창의 수학이란 무엇인가요?
창의 수학이라는 단어는 아이들의 학습지에 많이 활용되는데요. ‘창의 수학’은 단순히 정답을 맞히는 수학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질문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보는 사고 중심의 수학 활동을 말해요.
예를 들어 “사과가 몇 개인지 세어보자”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왜 이렇게 셌지?”, “만약 2개씩 묶으면 뭐가 달라질까?”처럼 수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표현하고, 놀이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죠.
이런 접근은 유아기의 수 개념 형성뿐 아니라, 논리력, 패턴 인식, 추론력까지 기를 수 있어요. 그리고 요즘은 AI 기술이 이 창의 수학 놀이를 훨씬 더 유연하고 풍부하게 도와준답니다.
활동 1: AI 수 인식 놀이 – 실물 숫자와 연결되는 스마트 카운팅
추천 도구: Osmo Numbers / Smart Numbers by Marbotic
Osmo Numbers는 아이가 실물 숫자 조각을 놓으면, AI가 인식해서 화면 속 물고기를 모으거나 바다를 채우는 식의 활동으로 연결돼요.
예를 들어 숫자 ‘3’을 놓으면 화면 속 캐릭터가 “3개의 물고기를 잡았어요!” 하고 반응하는 식이죠. 이 활동은 아직 수의 개념을 잘 익히지 못한 어린이들에게 유용할 것 같아요.
이 과정에서 아이는 단순한 수 세기를 넘어
- 숫자의 양감(수량감)
- 수의 조합과 분해
- 수 개념의 시각화
등을 자연스럽게 경험해요.
중요한 건, 아이가 숫자를 맞히지 못하더라도 질책하거나 실패의 경험을 안겨주는 것이 아닌 프로그램이 힌트를 주고 기다려준다는 점이에요. 실수도 배움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답니다.
활동 2: 규칙 찾기 놀이 – AI와 함께 패턴 완성하기
추천 도구: Pattern Shapes by Math Learning Center / AI 퍼즐 자동 생성기
규칙 놀이에서는 반복되는 색, 모양, 수의 흐름을 관찰하고 이어가는 능력을 길러요.
예를 들어 ‘노랑-파랑-노랑-파랑-?’ 같은 패턴을 보고 “다음은 뭐가 나올까?”를 예측하게 하죠. 유치원에서도 패턴놀이를 자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패턴의 개념을 잘 모르는 아이들은 외워서 하는 모습을 보이더라구요. 하지만
AI 앱을 활용하면 아이의 나이와 수준에 맞는 패턴 문제를 자동 생성할 수 있고,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잘했어! 그런데 이번엔 색이 아니라 모양을 바꿔볼까?” 같은 확장 질문도 가능하고 실제로 다양한 페턴을 만들어 볼 수 있다는 것이에요.
이때 중요한 건,
- 규칙을 찾는 눈
- 규칙을 설명하는 말
- 규칙을 만들어보는 창의력
이 세 가지를 골고루 경험하게 해주는 거예요.
활동 3: AI 음성 안내 수 세기 게임
추천 도구: AI 음성 피드백 도우미 (예: Google Assistant + 맞춤 앱)
“초록 블록을 5개 찾아보자!”
AI가 이렇게 말하면, 아이는 그 지시에 맞춰 물건을 찾고 개수를 세는 놀이를 해요.
특히 음성 중심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언어력과 수 감각을 동시에 키울 수 있어요.
단순히 화면만 보는 활동보다 더 몰입도가 높고, 활동 중 아이가 말로 표현하며 수를 조작할 기회가 많아지는 것이 장점이에요.
이 활동은 주의집중력이 부족하거나 시각적 자극에 민감한 아이에게도 효과적이랍니다.
활동 4: AI로 만드는 나만의 수학 이야기책
추천 도구: AI 스토리북 생성기 (예: BookCreator + GPT 기반 생성도구)
아이와 함께 AI로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보는 활동도 추천해요.
예: “토끼가 당근을 몇 개 모았을까요?”, “물고기가 2마리씩 모이면 몇 그룹이 될까요?”
아이의 말을 받아 AI가 스토리를 만들어주고, 여기에 그림을 그리고 숫자를 세어보며 수 개념과 문해력, 상상력이 한 번에 자라나는 활동이 돼요.
교실에서의 적용 팁
- AI는 조력자이지 중심이 아님을 기억하세요. 아이의 자발적 수학 놀이가 중심이어야 해요.
- 놀이와 실생활 연결을 고려하세요. 숫자를 세는 활동이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실생활 맥락(예: 간식 나누기, 책 정리하기)과 연결되면 더 효과적이에요.
- 아이와 대화하며 사고 확장하기: “왜 그렇게 셌어?”, “다른 방법도 있을까?” 같은 질문이 아이의 사고를 자극해요.
유아 수학의 핵심은 ‘정답을 맞히는 것’이 아니라
‘수와 친해지고, 수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자유로움’을 갖게 하는 데 있어요.
AI는 이런 과정을 보다 재미있고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멋진 도구예요.
단, AI는 어디까지나 아이의 놀이에 불을 붙여주는 불씨일 뿐, 불꽃을 지피는 주체는 언제나 유아 자신이라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다음 글에서는 AI 캐릭터로 익히는 사회성 교육 – 역할 놀이의 확장 을 주제로 사회성과 역할놀이에 활용할 수 있는 ai를 다뤄보겠습니다.
'AI시대 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와 함께하는 그림자 놀이 – 빛과 어둠을 이해하는 창의활동 (2) | 2025.05.08 |
---|---|
AI로 확장하는 유아의 공간지각력– 퍼즐, 블록, 증강현실까지 만들어보자 (3) | 2025.05.01 |
AI로 과학 실험 시작하기, 어렵지 않아요 (0) | 2025.04.30 |
AI와 함께 떠나는 사계절 관찰 여행 (1) | 2025.04.30 |
유아의 디지털 문해력 교육 – AI 시대에 꼭 필요한 기초 능력 기르기 (1) | 2025.04.30 |